금융상식

필수 경제용어 알아두기 :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방구석머니메이커 2025. 3. 6. 16:30

물가와 경제 상태에 대한 경제용어로

경제 정책은 물론 개인의 재정관리에도 영향을 주는 경제 현상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 (Inflation) : 물가가 장기간 상승하여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

  • 인플레이션은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뜻합니다.
  • 이는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개인의 실질소득 및 구매력이 감소합니다.
  • 예를 들어, 5년 전에는 짜장면 한 그릇을 5,000원이면 먹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8,000원을 줘야 먹을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고정적인 급여를 받은 직장인이나 연금 생활자, 예/적금이나 채권 등 금융자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불리해지는 반면 부동산 등을 소유한 자산가는 자산의 가격이 올라 유리해지고, 빚을 갚아야 하는 사람은 부채(=빌린 돈)의 부담이 줄어들어 이익을 보게 됩니다.
  • 인플레이션은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할 때, 생산 비용이 증가할 때, 또는 통화량이 과도하게 늘어날 때, 독과점 기업의 가격인상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 인플레이션과 금리 관계 : 인플레이션 일 때, 기준금리 높여 물가를 잡습니다.

 

 

2. 디플레이션 (Deflation) : 물가가 장기간 하락하는 현상

  •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경제 현상을 뜻합니다.
  • 경제적인 생산량이 크게 떨어지거나 과잉 생산으로 인한 불황에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단순히 생각하면 물가가 떨어져 여유가 생기고 구매력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일시적이고 표면적인 현상입니다.
  • 장기적으로 소비자들은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기대하며 지출을 미루는 경향이 발생하여 경제 활동이 위축될 수 있으며, 개인의 경제 활동이 위축되면 기업의 수익 감소로 이어져 물가 감소보다는 임금 동결이나 해고 등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국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기업의 생산이 줄고 도산이 늘어나 실업자가 증가합니다.
  • 대표적으로 일본의 90년대 버블 붕괴 후 장기 불황이 있습니다.
  • 디플레이션과 금리 관계 : 디플레이션 일 때, 기준금리 낮춰 시중의 통화량을 늘립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 경기침체와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현상

  •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제 현상을 뜻합니다.
  •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으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 물가가 오르고, 경기가 안 좋으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물가가 떨어집니다.
  • 하지만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경기 침체로 고용률은 낮지만 물가가 오르는 상황이므로 경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워지는데 이는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 정책은 실업률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스태그플레이션과 금리 관계 : 경기 침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준 금리를 낮춰야 하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기준 금리를 높여야 하는 경제적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출처 :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