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식

필수 금융상품 예금과 적금의 의미와 반드시 알아야 할 예적금 이자율 차이! 같은 금리라면 뭐가 더 유리할까?

방구석머니메이커 2025. 3. 2. 18:00

재테크를 시작하기에 앞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금융상품, 예금과 적금!

 

예금과 적금은 은행(혹은 저축은행)에 돈을 맡긴 후,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금융상품으로

재테크를 위한 저축 습관 형성 및 목돈 마련에도 도움을 주며

예금자 보호법*에 의해 5천만 원까지 예금 보험이 적용되는 안전한 저축 상품입니다.

(*예금자 보호법에 의한 예금자보호 한도는 5천만 원에서 1억으로 상향될 예정이나 시기는 확정되지 않음)

 


 

1. 예금과 적금의 차이

  • 예금 : 일정 기간 동안 원하는 금액을 은행에 맡기는 상품
  • 적금 : 돈을 일정 기간 동안 차곡차곡 저금하는 적립식 상품

 

예금의 종류는 정기예금과 보통예금 2가지가 있습니다.

  • 정기예금 : 일정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맡기는 상품
  • 보통예금 : 자유롭게 입금과 출금이 가능한 상품
  • 목돈이 묶이는 만큼 정기예금의 금리가 보통예금의 금리보다 높습니다.

 

적금의 종류에도 정기적금과 자유적금 2가지가 있습니다.

  • 정기적금 : 일정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매달 저축하는 상품
  • 자유적금 : 정해진 기간 내 자유롭게 저축하는 상품
  • 확정된 금액이 묶이는 만큼 정기적금의 금리가 자유적금의 금리보다 높습니다.

 

납입이 자유로운 보통예금이나 자유적금은 이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금과 적금이라고 하면,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을 뜻합니다.

 

 

2. 정기예금

  • 목돈을 한 번에 예치하는 상품 (예: 100만 원을 한 번에 납입)
  • 가입 시 설정한 기간 동안 돈을 예치하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함께 받습니다.
  • 일반적으로 예금 금리가 적금 금리보다 약간 낮습니다.
  • 이미 목돈이 있거나, 단기간에 돈을 예치하고 싶은 경우에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3. 정기적금

  •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는 상품 (예: 매월 10만 원씩 납입)
  • 가입 시 설정한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돈을 납입하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함께 받습니다.
  • 일반적으로 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약간 높습니다.
  • 매달 꾸준히 저축하는 습관을 만들고 싶거나, 목돈 마련을 목표로 하는 경우에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4. 예/적금 상품의 특징

  • 예적금은 은행별로 이자를 포함하여 총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가능합니다. (1억 원으로 상향 예정)
  • 5,000만 원이 넘는 금액은 서로 다른 은행의 예적금 상품을 가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예금과 적금 모두 조건(급여통장 사용, 체크카드 사용 등)에 따라 우대 금리를 지급하는 다양한 상품이 있습니다.
  • 우대 금리 외에도 은행별 특판 상품 등 다양한 상품이 있으니 여러 상품을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예적금 금리 차이의 특성

  • 표면적으로 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자칫 적금을 선호할 수 있지만 예금과 적금은 이자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예금 금리가 낮더라도 실제 수령하는 이자는 높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00만 원의 목돈이 있다면

  • 연 4% 금리의 1년 만기 예금의 최종 수령 이자(세후)는 40만 6,080원
  • 연 7% 금리의 1년 만기 적금의 최종 수령 이자(세후)는 38만 4,930원으로
  • 연 4% 금리의 예금이 연 7% 금리의 적금보다 수령 이자가 더 많습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계산기

 

 

이와 같이 적금 금리는 보이는 금리보다 수령 금액이 낮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계산하면 적금 금리를 예금으로 환산했을 때,

대략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세전) 적금 금리 X 0.54
(세후) 적금 금리 X 0.54 X 0.846

 

 

위의 예제에서 7%의 적금 금리는 3.78%(=7% X0.54)가 나오는데

실제로 세후로 계산해 보면 1,200만 원 X 3.78 X 0.846 = 383,745.6원으로

적금 계산기의 세후 이자인 384,930원과 거의 비슷한 값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예금? 적금? 어떤 것을 선택할까?

  • 예적금 금리의 차이로 인해 같은 금리라면 당연히 예금이 유리합니다.
  • 하지만 단순히 표면 금리만으로 예/적금 상품을 선택하기보다는 현재 자산의 상태, 현금 흐름 등을 고려하여 예/적금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사회 초년생이나 재테크를 시작하는 경우, 저축 습관을 위해 적금으로 목돈을 만들고
  • 적금이 만기 된 금액은 예금에 가입해 자산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 적금과 예금의 만기를 기다리며 다양한 금융상품과 경제 상황 등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필수!!! 입니다.